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5

3장3절 / 1-(2) 지역사의 개념 3장 역사교육의 교재 3절 역사 교재의 소재 1. 지역사 자료 (2) 지역사의 개념 -------------------------------------------------------------------- *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 이중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가는 → 단순한 선호도가 아니라 → 지역의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임 ---------------------------------- 1. 역사교육에서 가장 자주 사용됨 2. [향토] // 자신이 태어나서 자라거나 // 생활하고 있는 고장 // 공동생활과 정서, 공통된 전통 // 상호의존적 지역사회 지칭 // 자신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 공동체 역사라는 개념 내포 // 향토사를 공부하면 애향심을 갖게됨 3. '향토사' 용어 .. 2022. 3. 17.
3장3절 / 1-(1) 지역사의 의의 3장 역사교육의 교재 3절 역사 교재의 소재 1. 지역사 자료 (1) 지역사의 의의 -------------------------------------------------------------------- * 지방자치제 시행 * 지역문화 활성화 * 정치, 교육정책의 영향 ------------------ * 각 시군에서 향토지 발간 * 향토자료관 신설 * 향토사 단체 // 시군문화원, 자치단체의 지원 받음 // 지역사 자료 발굴, 정리, 연구 * 역사교사 // 지역사 연구에 참여 // 지역사 학습 증가 * 역사학계 // 지역사에 대한 관심 증가 // 전문학회 형성, 학회지 발간 // 연구논문 숫자 증가 -------------- 1. 학생들은 자신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일어났던 일에 흥미를 가진다. //.. 2022. 3. 17.
3편6장2절 / 5. 공동체적 성격과 관습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2절 봉건사회의 구조: 장원제도 (하부구조) 5. 공동체적 성격과 관습 ----------------------------------------------------------- * 공동체적 규제와 권리 // 장원제도에 속함 // 영주제적인 면과는 성격이 다름 ----------------------------- * 경지강제(Flurzwang) // 농업경영의 규제 // 기술상의 제약과도 밀접한 관련있음 // 3포제 농법과 개방경지, 혼재지제도 // 하에서 농민, 영주는 // 개별적인 농업경영 불가능 → 경작지에 심는 곡식의 종류 → 파종, 수확시기 등은 → 전체적으로 정해져 있었음 ------------------------- // 가난한 농.. 2022. 3. 17.
3편6장2절 / 4. 영주권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2절 봉건사회의 구조: 장원제도 (하부구조) 4. 영주권 ----------------------------------------------------------- * 경제외적 권리, 권한 // 국가공권의 해체와 분산에 근원을 둠 * 구체적 내용 // 시설독점권 // 강제이용권(bannality) // 요금징수권 → 제분, 제빵, 포도압축소 → 도로, 교량, 항만의 부두시설 → 시장개설, 시장내 각종 시설 * 영주재판권 // 재판권에는 상급, 하급의 구분 존재 // 소영주도 재판권 행사 가능 // 농노를 부자유 신분에 예속시키고 // 토지에 결박시키는 기본적인 권리 // 도망간 농노를 잡아올 권리(추적권) 포함 // 상급재판: 중죄를 다룸 //.. 2022.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