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한국사통론9

조선전기 집권체제의 확립 국초부터 추구되어온 국왕중심의 집권체제 → 관료중심 정치운영을 이상으로 하는 유신들의 갈등 초래 → 집현전 학사들은 재상중심체제의 부활과 이를 통한 자신들의 정치참여를 희구 ------------------------------------------------------------- 1436년(세종 18) : 6조직계제 폐지, 의정부 서사제도 부활 ※ 집현전의 간쟁기관 정치기관화 1442년 : 첨사원 설치 (왕이 신병으로 정무를 세자에게 맡기고자 한 것) → 집현전 학사들에게 첨사원의 관직 + 서연을 맡게하여 세자를 보필하게함 1445년 : 세자가 직접 정무를 처리 → 집현전 학사들의 정치적 기능 발휘 시작 → 세자가 문종으로 즉위함에 따라 이들이 '대간'으로 진출하는 등 요직 차지 → 단종이 어린나이에.. 2022. 11. 1.
조선전기 유교정치의 발전 유교교양에 철저한 인재의 양성 및 이에 입각한 문물의 정비와 전통문화의 정리를 추구함 ※ 1420년(세종 2) '집현전' 설치 ● 집현전 문사 → 유학에 능통한 연소한 문사들로 구성 → 사헌부의 규찰을 받지 않아 신분 보장 → 경제적 배려를 받음 → 산사에서 독서에 몰수할 수 있도록 장기간의 휴가가 주어지기도 함 ● 집현전의 중요 직무 → 경연, 서연, 제도와 문물 및 역사연구, 편찬사업 (훈민정음 창제로 결실) → 경연(국왕), 서연(세자): 국왕과 세자의 수덕을 담당 ※ 학교 설립 ● 4부학당제 확립 → 국초부터 중동서남북의 5부학당이 있었는데 세종 27~8년에 북부학당 폐지 ● 종학 설립 → 종친교육 담당 ※ 편찬사업 ● 『삼강행실도』, 『효행록』 → 효 사상 전파 ● 『국조오례의』 → 일상생활의 .. 2022. 11. 1.
조선전기 왕권의 강화 1. 재신 합좌로 구성된 최고권력기구인 '도평의사사'의 기능을 약화시킴 → 국가의 중요문제는 국왕이 도평의사사에 하명하여 시행케 함 ex) 개국공신과 원종공신의 선정 : 태조가 단독으로 결정하여 이를 도평의사사에 내리면서 포상하도록 명령 2. 소수의 재신중심 국정운영 → 도평의사사나 개국공신 등 다수관료 소외된 경향 → 소외된 공신들의 불만을 축적시켜 권력투쟁의 요인이됨 소수 재신 = 조준, 정도전, 남은 등 ------------------------------------------------------------------ (1차 왕자의 난(1398)) 이방원(이성계의 5남)은 태조가 이복동생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한 데 불만을 품고, 방석을 후원하고 있는 정도전, 남은 등이 자기 형제들을 제거하려 한.. 2022. 11. 1.
조선의 건국과 집권화 정책 1. 군제개편 및 의흥삼군부의 설치 [의흥삼군부] 설치(1392): 국왕의 친위군 조직, 중앙군 병력의 핵심 [의흥친군위]를 [의흥삼군부]로 확대 개편(1393): 병권의 중앙집중 달성 의흥삼군부 설치의 의미 : 도평의사사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조치 → 군정이 의흥삼군부로 귀속되는 과정에서 중추원의 군정기능 허명화 → 도평의사사의 군무기능도 소멸되어 도평의사사는 정무만을 관장하게됨 2. 문무관리의 선발 임용제도 수립 1393년 무과와 리과 신설 → 관리선발 제도를 문무의역 음양 리과 및 문음의 7과로 정리 → 직무중심으로 지배층을 재편성하려는 의도 3. 지방제도 개편 ① 1393년에 관찰사제도 복구, 각 도에 전임행정기관 배치 → 중앙정부의 지방통제 강화를 의미함 ② 지방군현의 행정기관인 수령의 자격을 6.. 2022.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