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사/서양사개론

4편9장1절 / 1. 르네상스의 역사적 의미

by 대군장 2022. 4. 1.

4편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9장 근대사회의 태동

1절 르네상스

1. 르네상스의 역사적 의미

-----------------------------------------------------------

<르네상스: Renaissance>

* 프랑스어 '재생'

* 보다 구체적인 의미

// 14세기~16세기 그리스, 로마의 고전문예가 부활한 것

 

* 용어의 기원

// (1) 바사리(Giorgio Vasari, 1511~1547)

→ 르네상스기의 화가

→ 『예술가열전』(Lives of the Artists)

→ [레나시타] (renascita) : 재생

→ "13세기말 치마부에(1240~1303)와

→ 지오토(Giotto, 1266~1337)로부터 시작되어

→ 미켈란젤로(1475~1564)에 이르러 완성된

→ 고전고대 미술의 부활"

 

// (2) 미슐레(Jules Michelet)

→ 19세기 프랑스 역사가

→ [르네상스]

→ "단순히 고대미술의 부활만이 아니라

→ 고대문화 전체의 부활과

→ 그것을 발판으로 한 새로운 근대문화의 창조"

→ '르네상스'를 시대개념으로 제시

 

→ 그러나 '르네상스'를 프랑스적 현상으로 파악함

→ 시작점: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

 

// (3)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 스위스 역사가

→ 오늘날의 르네상스 개념을 확립

→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14세기경부터

→ 고전고대문화의 부활을 발판으로 한

→ 근대문화창조의 움직임"

 

*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의 문화』 - 부르크하르트(1860)

// Die K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

// '르네상스'

→ 역사발전 속에서 도려내 하나의 독립적인,

→ 완성된 형태로 파악.

→ 르네상스는 중세와 단절된 고대와 직결된 문화현상

 

// 이러한 부르크하르트의 견해에 비판, 수정 제시됨

 

* '12세기 르네상스'

// 르네상스와 중세의 연속을 강조

 

* 르네상스

// 중세적인 것 많이 존재한다는 견해

 

* 르네상스

// '중세의 황혼'으로 보는 견해

 

 

* 다양하게 제시된 견해의 한계

// 12세기 르네상스를 제외하고는

// 일면의 진실이 있지만

// 중세와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나머지

// 르네상스의 독자성과

// 근대적인 것의 맹아를 무시할 위험 존재함

 

* 타협책

// 르네상스

→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 중세와의 연속성 인정

→ 르네상스의 근대적인 성격도 중시함

→ 현재 많은 지지를 받고 있음

 

* 올바른 르네상스관(필자)

// 중세와의 연속이나 이행기, 과도기적 성격이 아닌

// 르네상스기에 새로이 인식된

// 고전고대문화의 부흥을 통하여

// 새로운 근대문화가 창조된 면을 중시해야함

→ 부르크하르트적 르네상스상의 정당성을 인정한다는 의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