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사227

3편6장2절 / 2. 장원의 구조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2절 봉건사회의 구조: 장원제도 (하부구조) 2. 장원의 구조 ----------------------------------------------------------- // 촌락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음 // 경우에 따라 한 장원에 두 촌락 포함 // 큰 촌락은 두개 이상의 // 장원으로 구분되기도 함 // 농촌적인 중세사회의 // 일상적 현실생활 영위 기본단위 * 한 촌락이 하나의 장원인 경우 // 중심에 영주관(manor house) 존재 → 영주가 평기사라면 여기 거주하며 관리 → 그 외에는 관리인을 둠(steward, bailiff) // 농가 → 도로변에 나란히 모임 // 시설물 → 제분소, 제빵소, 창고 등 → 교회 → 영주관에 인접.. 2022. 3. 16.
3편6장2절 / 1. 정주 및 농업경영형태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2절 봉건사회의 구조: 장원제도 (하부구조) 1. 정주 및 농업경영형태 ----------------------------------------------------------- * 주종제도로서 결합 * 전사 + 토지소유자 * 모두 장원영주(manorial lord) // 토지는 장원으로 조직됨 * [장원제도] (manorial system) // 주종제도의 사회경제적 기반 ----------------- // 정주형태: 촌락, 산거정주로 구분 가능 1. 산거정주(dispersed settlements) (散居定住) // 스코틀랜드, 웨일즈, 콘월(Cornwall) // 브르타뉴, 서부노르망디 // 프랑스 중부 고지대 등 // 빈약한 토질의 지.. 2022. 3. 16.
3편6장1절 / 5. 기사도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5. 기사도 ----------------------------------------------------------- * 봉건적 계층제의 평기사 * 말을 탄 전사 // 봉건적 지배계급 모든 사람에게 적용 // 귀족, 국왕, 평기사 ------------------------------- // 봉건적 지배계급인 귀족집단의 // 도덕과 예의범절을 포함한 행동규범 // 봉건제도의 발전에 따라 역사적으로 형성됨 --------------------- * 7~8세 // 아버지의 주군, 친척의 상위귀족의 궁정에 기거 // 기사 교육, 훈련, 예의범절 학습 * 시동(page) // 어린시절 // 성주부인의 시동.. 2022. 3. 16.
3편6장1절 / 4. 봉건적 계층제와 정치기능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4. 봉건적 계층제와 정치기능 ----------------------------------------------------------- // 대공 // 선제후 // 공작 // 후작 // 백작 // 자작 // 남작 // Baron ---------- // 국왕을 정점으로 하고 // 많은 중간단계를 거치면서 폭이 넓어짐 // 평기사를 저변으로 삼음 * (주종관계) 봉건적 계층제의 구성원 // 모두 전사임 (싸우는 사람) // 봉건적 토지보유자 // 봉건적 지배계급에 속함 // 봉건적 계급구성 상징하는 말 → 기도하는 사람, 싸우는사람, 일하는 사람 -------------------- * 질서와 평화를.. 2022.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