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5 4편8장1절 / 7. 도시의 반란 4편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8장 봉건사회의 붕괴 1절 장원제도의 붕괴와 도시의 변화 7. 도시의 반란 ----------------------------------------------------------- 1. 소수 상층부르주아지 // 도시귀족화 // 시행정권 배타적 독점 2. 일반직인의 장인 상승 막힘 // 길드조직 내 장인직이 // 폐쇄적인 특권으로 변함 3. 다수의 도시프롤레타리아 발생 // 임금노동자 수효 증가 ----------- // 플랑드르와 이탈리아 대공업도시의 경우 // 도시반란 격심 * 반란의 형태 // 자본가적 상층 부르주아지에 대한 // 도시프롤레타리아의 전면적인 반항 * [치옴피의 반란] // 1378년 피렌체 소모공의 반란 // 자신들의 길드형성 // 도시행정에의 참여 /.. 2022. 3. 21. 4편8장1절 / 6. 도시의 변화 4편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8장 봉건사회의 붕괴 1절 장원제도의 붕괴와 도시의 변화 6. 도시의 변화 ----------------------------------------------------------- * 경제전반 위축 → 흑사병으로 인한 인구감소 → 상품 과잉공급, 수요 대폭감퇴 * 구조적인 변화 → 12~13세기 상공업의 발달 → 도시민의 계층분화 ---------------- * 상층 부르주아지 // 도시의 부 집중 // 전체 주민중 극소수에 불과한 비율 // 자본가, 대상인 → 외국무역, 도매상에 종사 // 13세기 후반에 도시귀족화 → 시행정 장악 → 이를 이용하여 더 많은 부 축적 // 플랑드르의 경우 → 모직물 공업이 융성한 공업중심지에서는 → 양모수입상이 모직물제조업자를 겸함 /.. 2022. 3. 21. 4편8장1절 / 5. 농민반란 4편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8장 봉건사회의 붕괴 1절 장원제도의 붕괴와 도시의 변화 5. 농민반란 ----------------------------------------------------------- // 플랑드르 → 프랑스 → 영국 → 카탈루니아 → 독일 --------------- // 자본주의사회의 공장노동자 파업과 같이 빈번 // 14세기의 농민반란 → 대규모, 반사회적, 도전적 -------------- * 1323년 농민반란 // 부루해, 이프레 등 도시반란에 힘입음 // 1328년까지 지속 // 프랑스왕의 힘을 빌어 겨우 진압 *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의 활동 // 민중편이라 선언하지 않는자를 학살 // 직접노동에 종사하지 않는자를 적대시 // 교회, 성직자에 대해서도 반감표명 * 반.. 2022. 3. 21. 4편8장1절 / 4. 흑사병 4편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이행 8장 봉건사회의 붕괴 1절 장원제도의 붕괴와 도시의 변화 4. 흑사병 ----------------------------------------------------------- * 인구증가 추세 멈춤 * 경제 침체 * 봉건사회 붕괴중 -------- * 페스트의 일종 * 진원지 // 아시아로 추정 * 전파경로 → 흑해연안 항구 → 콘스탄티노플 → 제노아, 베네치아 및 시칠리아 → 1347년 전 이탈리아에 만연 → 1347년 아비뇽, 마르세유 → 1348년 프랑스 전체 → 1348년 가을, 영국 상륙 → 1349년 영국 전체에 유행 → 1350년 북유럽 확산, 아이슬란드, 러시아 등 -------------------------- * 도시 // 인구 대폭감소 // 아비뇽 추기.. 2022. 3. 21.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