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사/서양사개론227

3편6장1절 / 3. 주종제도와 봉토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3. 주종제도와 봉토 ----------------------------------------------------------- * 좁은의미의 봉건제도 핵심 * 봉건적 주종관계 // 봉신(vassal)이 될 자가 // 주군(lord)이 될 사람에게 // 신서(homage), 충성(fidelity)의 맹서를 하고 // 주군될 사람이 봉신에게 봉토를 수여하여 성립 * 신서와 충성의 의식 // 봉신이 될 자가 주군앞에 무릎꿇고, // 그의 두 손을 주군의 손 사이에 놓고, // 그의 신하가 될 것을 서약하고, // 성경, 성스러운 유물에 대하여 // 충성, 봉토에 관련된 // 모든 의무를 수행할 것을 맹서.. 2022. 3. 15.
3편6장1절 / 2. 봉건제도 기원과 성립과정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2. 봉건제도 기원과 성립과정 ----------------------------------------------------------- * 로마설, 게르만설 대립해왔음 * 민족이동 전의 게르만사회, 로마사회 * 개인적 보호관계 // 주종제도의 한 측면 // 로마사회의 클라이엔테이지(clientage) → 클라이엔테이지 → 로마사회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관계 * 종사제(comnitatus) // 게르만사회 // 주종제와 유사 * 로마의 '프레카리움'(precarium) // 가점유 // 토지의 불완전 소유 // 완전한 소유가 아니라 // 지대 등 일정 의무수행을 조건으로 // 토지의 용익권을 갖는 사례.. 2022. 3. 15.
3편6장1절 / 1. 봉건제도 용어와 해석의 문제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1. 용어와 해석의 문제 ----------------------------------------------------------- // '봉건사회'(feudal society) // 봉건제도, 봉건제(feudalism) ------------------------------------- // 일정한 의무수행에 대하여 수여되는 // '봉', 내지는 '봉토'(fief)를 뜻하는 // 중세 라틴어 feodum 또는 feudum에서 유래 * 제도사가들의 정의 // 따라서 일찍부터 '봉건제도'를 // 일정한 의무수행과 // 이에대한 봉(토)수여로 성립하는 // '주종제도'를 중심으로 이해하려고 하였음 → 제.. 2022. 3. 15.
3편5장4절 / 5. 노르만의 활동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5장 유럽세계의 성립 4절 샤를마뉴와 노르만의 활동 5. 노르만의 활동 ----------------------------------------------------------- * 슬라브족 땅으로 진출 * 9세기 중엽 '노브고로드'에 기지 설치 * 남으로 진출하여 드네프르 강변의 '키에프'에 정착 * 일명 바랑고이족(Varangians)으로 알려짐 // 요새화한 기지 마련 // 주변농촌 정복 // 정복과 상업활동을겸함 // 모피, 꿀, 노예를 상품으로 삼아 콘스탄티노플과 교역 // 때로는 비잔틴 침략하기도 함 * 러시아국가 건설 // 10세기에 바랑고이족이 현재 서부러시아를 지배 // 키에프공이 지배하는 최초의 러시아국가 건설 ----------------------.. 2022.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