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 선위역2 2. 역사교육 목적 논의의 구도 * 목적론이란 교과로서의 가치 정당화를 의미하기도 하며, 역사교육의 가치와 직결됨 * 전통적인 역사교육의 5가지 목적 [1. 교훈의 획득] (의미)------------------ 과거 사람들이 어려운 상황(문제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행동했는가와 같은 사례를 통해 교훈을 획득하며, 합리적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줌 (유용성)----------------- 역사가 도덕교육(가치교육)이라는 유용성을 가지며 역사가 선악이나 진위의 판단기준이 된다. (비판)------------------- 1. 역사에서 동일한 사건은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 사건의 일회성, 특수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똑같은 과거의 사례를 찾는 것은 무의미하다. 2. 지배층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한다. >.. 2022. 7. 10. 1. 역사교육학 내용의 특성 1. 이돈희 교수의 구분 (1) [내용적 명제]: 역사 내용 (2) [설명적 명제]: 역사에 관한 이해 형식 (3) [교육적 명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명제 2. 슐만(L.Shulman)의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1) [내용지식] (Content knowledge) * 교과의 기본개념과 원리 및 방법론적 지식 *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범위와 구조,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역사의 학문적 특성에 대한 이해, 학문의 방법론적 절차와 구조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2) [교수내용지식]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가르치기 위한 내용지식 * 교과의 특정적인 내용지식 구조에 대해 학습자를 고려하여 전달하는 양식이자, 학생들에게 교과를 이해하게끔 제시하고 조직하는 데.. 2022. 7.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