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3. 역사 교육내용의 요소 / (2) 역사적 사고

by 대군장 2022. 2. 27.

<역사적 사고는 역사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 지식이 구체적인 표현이나 능력으로 나타나려면 사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 교육내용이 모 학문을 토대로 구성된다고 할 때, 그것은 학문의 지식뿐 아니라 그 연구방법도 함께 의미한다.

- 역사의 일반화 및 탐구는 그 자체에 사고의 과정을 내포한다.

- 역사 지식이 중요시 되는 것은 그것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과정 때문이다.

 

<사고능력을 학습한다는 것>

- 단순히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사용하는 것을 배우는 것만이 아님

- 다양한 지적 자질 (지적호기심, 인내심, 정직성, 정확성, 근면성, 집중력, 의문을 제기하는 능력 등)을 갖추는 것이다.

- 언어로 표현된 진술과 발화에 내재되어 있는 사고의 특질과 방식을 탐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 [학습]: 사고할 줄 아는 능력을 배우는 것, 학습의 요체는 사고의 산출물이 아니라 사고하는 능력 자체다.

 

- 교사는 지식과 사고능력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존재이다.

- 사고능력은 실천과 연습을 통해 학습된다. 이때 학습자의 주도적, 능동적 참여가 필수다.

 

<역사적 사고능력>

- 역사에 대한 가설과 질문에 답을 찾기위해 정보를 투입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일상적이고 제한적인 정신작용을 넘어,

문제를 분석하고 해석하며 정보를 새롭게 조정하는 확장적 정신작용이다.

 

- (사고의 기본적 출발점) : 정보제시, 공식적용, 규칙응용

→ 역사탐구에서는 사고의 기본적 출발점에서 [비판적사고], [창조적 사고], [메타인지] 등으로 심화 발전한다.

 

<역사교과 탐구의 출발점>

- 학습자가 교과서 혹은 교사가 제시하는 역사적 해석이나 설명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

 

<학생들의 역사탐구과정>

1. 역사지식을 바탕으로 문제인식

2. 문제해결을 위해 1차사료를 비롯한 다양한 역사자료 수집

3. 자신만의 탐구활동 진행

 

<탐구과정에서 이해능력, 분석능력, 해석능력, 비판능력, 판단능력 작용>

 

- [이해능력]

→ 제시된 자료의 내용과 문맥을 파악하는 능력

→ 자료에서 주요 사실과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핵심요소를 찾아낼 수 있는 변별력

 

- [분석능력]

→ 문헌자료, 도표, 지도, 연대표 등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분석하여

→ 각 자료의 핵심내용을 포착하고 그 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분별하는 능력

 

- [해석능력]

→ 관련자료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료의 공통성, 경향성, 규칙성 등을 읽어내는 능력

 

- [비판능력]

→ 역사지식의 정확성과 신뢰성 여부를 평가하고 사실의 진위 및 유사성과 차이점 등을 구분하는 능력

→ 역사진술이 사실에 관한 것인지 가치에 관한 것인지 구분하고,

→ 그 진술 뒤어 숨어있는 가정을 파악하고,

→ 진술의 논리적 모순이나 편견을 지적하고,

→ 근거있는 주장과 근거없는 주장을 구별하는 등의 인지활동이다.

 

- [판단능력]

→ 다양한 가치를 구분, 선택하는 분석과 명료화의 과정을 통해

→ 대상이나 진술이 맞는지 틀린지,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고,

→ 가치판단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판단능력은 역사적 사고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역사적 판단은 역사 사실을 학습하는 방식과는 달리,

→ 암기하거나 이해하는 대상이 아니라 

→ 역사정보를 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고과정이다.

→ 판단은 정보를 축적하듯이 쌓아가는 것이 아니다.

 

<역사교사의 역할>

- 역사교사는 역사적 사실을 설명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자신의 역사적 판단을 전수한다.

- 따라서 합리적인 역사 판단을 위해 해당 사건 뿐만 아니라 관련 역사 사실에 대한 이해를 갖춰야 한다.

→ 잘못된 역사지식이나 부족한 역사-정보에 기초한 역사적 판단은 자칫 왜곡되거나 편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판단 과정에는 학습자의 지식과 경험, 가치관이 작용한다.>

 

<메타인지는 역사적 사고의 필수요소다.>

- [메타인지] 

1. 자신의 사고가 잘 되고 있는지, 또 잘못되고 있다면 그 오류는 무엇인지 등을 반성하는 정신작용

2. 사고에 대한 사고

3. 초인지, 상위인지

4. 사고의 과정과 결과를 검토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사고전략

 

 

<각 교과의 학습은 학문의 성격에 따라 사고패턴과 인식과정이 다르다.>

- 역사교육의 내용이 역사인식이자 역사담론이라고 할 때,

그것은 일반적 사고로 포괄할 수 없는 독특한 역사적 사고의 측면을 지칭한다.

ex) 인증적사고, 역사담론을 비판하고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능력, 상상적 이해, 감정이입, 추체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