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3. 역사 교육내용의 요소 / (1) 역사지식 / ③ 일반화

by 대군장 2022. 2. 27.

- [ 일반화 ] : 두 개 이상의 사건이나 현상 혹은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진술

 

<역사의 일반화>

1. 역사 사실들을 관찰하여 추출한 보편적 서술

2. 개별적 사건들의 경험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역사 사실들간의 관계, 사실과 개념의 관계,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보편화하여

일종의 법칙과 유사하게 서술한 것

→ 구체적인 사실이 수반되지 않은 일반화는 경험적 증명을 거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일반화가 아니다.

 

<일반화의 구분>

- [제한된 일반화] : 일정한 시기와 지역에 제한된 일반화

→ ex) 동학농민전쟁은 반제국주의적, 반봉건적 농민운동이었다.

 

- [보편적 일반화] :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일반화

→ ex) 과거의 사실에 대한 역사가의 견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 사실, 개념, 일반화의 관계> : 상보적 관계

- [구체적 사실]: 역사의 핵심 개념이나 일반화를 뒷받침하고 근거를 제공해주는 역할

- [역사의 핵심개념, 일반화] : 구체적 사실들에 의미를 부여해준다.

 

 

<일반화의 역할과 효용>

1. 일반화는 개별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고 사실들의 관계, 혹은 개별 사실과 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2. 일반화는 사실과 개념들을 활용하여 추론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사고차원을 높여준다.

 

3. 일반화는 개념과 함께 여러가지 역사적 개별사실들을 조직하는 핵심요소로 이용된다.

→ 일반화가 갖고 있는 보편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일반화를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는 과거, 현재, 미래의 비슷한 사실들을

예상하거나 설명, 분류, 조직할 수 있다.

 

4. 일반화는 모델이나 이론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ex1)

(개념): 문화 // '문화' [개념]이 [일반화]로 발전 가능 // 일반화는 [이론]으로 발전가능

→  (일반화): 인간이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는 곳엣거는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독특한 관습이나 생활패턴이 만들어진다.

→ (이론): 문화상대주의

 

ex2) 

(일반화): 과거에 대한 해석은 새로운 자료의 발견이나 관점의 변화에 따라 계속 변화한다.

→ (이론): 역사해석의 관념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