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한국사통론9

고려 후기 군사제도의 변화 (1) 2군6위제 형해화 → 다만 무반의 관직체계로서 구실 * 원인 ① 군인전의 피탈에 따른 군호의 몰락은 2군6위의 상비군 조직을 존속할 수 없게 하였다. ② 예종시기 '별무반'의 설치와 무신정권기 '도방'의 사병조직 및 '삼별초군'의 존재는 공병제 붕괴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음 //* 도방 → 무신정권을 보위한 사병조직 → 초기에는 6번교대, 뒤에는 36번으로 확대 *// //* 삼별초 → 경찰임무를 지닌 야별초가 좌우로 나뉘고 → 여기에 몽고와의 항쟁 때 포로로 되었다가 도망친 사람들로 구성된 → '신의군'이 합한 것 → 국가 공병이었으나 최씨정권의 사은을 입어 사병화 *// -------------------------------------------- (1) 몽고의 영향을 받아 '만호제'를 기간으.. 2022. 10. 27.
고려 지방제도의 발전 (1) 500여개의 군현 가운데 외관이 파견된 주현이 적고 외관이 없는 속현이 많았다. (2) 고려 전기에는 주현이 중앙정부와 직결되고 다만 한정된 기능에 있어서 '계수관'이 중간기구를 대행한 미숙한 명령체계였다. (3) 중기 이후 중간기구로 경기, 5도, 양계의 8개 구획이 성립하였으나, 이것은 획일적이지 못한 3원적 구별이었다. (4) 천민집단의 특수행정구획으로 향 부곡 소가 광범위하게 존재하였다. ------------------------------------------- 고려정부의 긴급한 과제는 수령이 없는 속현을 감소시켜 중앙집권화를 강화하는 것 * 속현의 감소방법 (1) 정식 수령을 파견하여 주현화시키는 방법을 취함 ex) ① 청주목 관내 부성현에 1144년(인종22) 현령 설치 ② 울주 속.. 2022. 10. 27.
고려후기 중앙정치체제의 변화 (235~238) - 권문세족의 권력집중기관 - 재추의 변방 및 군사문제 회의기관인 '도병마사'의 후신이다. - 고종 후년에 도병마사가 군사문제에 더해 민사문제까지 관장하자 '도당'칭호를 획득하였다. - 1279년(충렬왕5)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칭되었다. //* 도병마사는 원의 관제와는 무관하였기에 개정의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기능상으로 기구명이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1279년에 고려 스스로 개칭한 것이다. *// ***** 도평의사사의 정원 ***** 처음에는 5재 7추 점차 재추의 수가 증가 + 직접 직사자가 아닌 재추 상의까지 포함 고려말에는 도당합좌 재추의 수가 7~80명 → 도당 회의원의 과다한 증원으로 현실적인 도당의 의정활동이 장애가 되어 몇 명의 재추로 禁中(금중)에 常會(상회)하여 기무를.. 2022. 10. 25.
1장1절 / 2. 한반도의 구석기인 1장 석기시대의 문화 1절 구석기시대의 문화 2. 한반도의 구석기인 ------------------------------------------- * 구석기 유적의 발굴 // 70만년 전인 전기 구석기시대 → (1) 한반도에 인류 거주 사실 알게됨 → (2) 그들은 전기 구석기시대부터 → 신석기시대에 이르기까지 → 계속 생존하였다는 것도 확인됨 * 이 구석기인들이 우리의 직접조상인지 여부 // 대체로 부정적인 견해가 지배적임 → 구석기시대 자연환경부터 살필 필요 있음 * 한반도에서의 빙하의 흔적 // 고도 2000m 이상 일부에서만 확인됨 // 이외의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 한반도가 빙하의 주변지역임을 확인 → 그래도 빙하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을 것 --------------------------.. 2022.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