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5 3장2절 / 2-(3) 사료의 활용 3장 역사교육의 교재 2절 역사교재의 형태 2. 사료 (3) 사료의 활용 -------------------------------------------------------------------- // 교과서를 제외하고 // 가장 널리 역사수업에 사용된 교재 // 연구수업, 발표수업의 사료학습에 활용 // 자체제작 교재도 사료중심 경향 있음 // 교과서 수록되는 사료의 양과 종류 다양해짐 ----------------- // 역사수업이 지나치게 // 사실중심, 강의위주라는 비판이 나올때 // 사료활용 강조 // 20세기 초 영국, 미국에서 // 사료를 통한 탐구활동 권장 --------------- // 19세기 말부터 사료활용 필요성 제기됨 * 미국역사학회(American Hustorical Assoc.. 2022. 3. 16. 3장2절 / 2-(2) 사료의 출처 3장 역사교육의 교재 2절 역사교재의 형태 2. 사료 (2) 사료의 출처 -------------------------------------------------------------------- * 명백히 구분되는 것 아님 * 서로 중복될 수 있음 1. 교과서에 있는 사료 // 교과서가 설명 텍스트에서 벗어나 // 자료집 역할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 강해지면서 // 역사교과서에 사료가 많이 실림 // 7차교육과정 교과서에는 // 사료를 제시하고 // 그 내용에 대한 분석, 해석을 통해 //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 탐구하는 활동 많아짐 // 교과서 안의 사료가 // 단순 보조자료 역할만이 아닌 // 본문내용을 대체하거나 // 주요 학습내용의 역할을 하는경우 증가 2. 인쇄, 편집된 사료 // 한국.. 2022. 3. 16. 3장2절 / 2-(1) 사료의 성격 3장 역사교육의 교재 2절 역사교재의 형태 2. 사료 (1) 사료의 성격 --------------------------------------------------------------------------------------- * 역사연구의 기본자료 * 과거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 원천 * 역사학은 사료를 통해서만 성립 * 문자로 남겨진 기록 * 그릇, 도구, 건물 등의 유적, 유물도 포함됨 // 랑케 → "역사란 사실을 그대로 밝히는 것" → 사료 내용을 정확히 밝혀내라는 의미 -------------------------- * 사료는 과거의 일을 편집, 해석한 것 // 과거의 일을 그대로 담고있지 않음 // 만든사람의 해석, 관점이 개입함 // 역사연구는 사료비판과정 거친 후 진행 // 사료의 진.. 2022. 3. 16. 3편6장1절 / 5. 기사도 3편 중세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6장 중세봉건사회와 교회 1절 봉건사회의 구조: 봉건제도 (상부구조) 5. 기사도 ----------------------------------------------------------- * 봉건적 계층제의 평기사 * 말을 탄 전사 // 봉건적 지배계급 모든 사람에게 적용 // 귀족, 국왕, 평기사 ------------------------------- // 봉건적 지배계급인 귀족집단의 // 도덕과 예의범절을 포함한 행동규범 // 봉건제도의 발전에 따라 역사적으로 형성됨 --------------------- * 7~8세 // 아버지의 주군, 친척의 상위귀족의 궁정에 기거 // 기사 교육, 훈련, 예의범절 학습 * 시동(page) // 어린시절 // 성주부인의 시동.. 2022. 3. 16. 이전 1 ··· 82 83 84 85 86 87 88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