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뚜벅뚜벅교육학

1장2절 / 1-9) 역량중심 교육과정

by 대군장 2022. 5. 30.

1장 교육과정

2절 교육과정 유형 및 개발모형

1. 교육과정 유형

9) 역량중심 교육과정

-------------------------------

* 정의

// (1) 사회에서 요구하는 필요한 역량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으로,

// 학생들이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역량을

// 발달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교육과정이다.

 

// (2) 교과서와 암기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안으로

//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등장하였다.

 

// (3) 최근 학교에서는

// 학생들의 역량발달을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 교육철학을 공유하고 있다.

// 행정차원에서는 교사업무 경감과

// 교사연수 지원 등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특징

// (1) 수행능력 강조

→ 학습자가 길러야 할 핵심역량으로

→ 수행능력을 강조한다.

→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 무엇을 아는 것보다,

→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교육의 중점을 둔다.

 

// (2) 핵심역량은 여러 능력의 총체

→ 핵심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 태도 등

→ 여러 능력들의 총체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이

→ 복합적으로 발현되어 나타난다.

 

// (3) 사회적 맥락 중시

→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안으로

→ 사회적 맥락을 중시한다.

→ 핵심역량은 교실이 아닌

→ 사회적 삶 속에서 길러지고 활용되기 때문에

→ 실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맥락이 중시된다.

 

// (4) 지식은 역량발달의 수단

→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과 역량을 구분한다.

→ 지식은 그 자체로 중요하기보다는

→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 가치를 지닌다.

 

// (5) 교사의 자율성 보장

→ 교육과정 설계에서

→ 내용선정과 조직에 대한 결정 권한이

→ 교사에게 부여된다.

→ 즉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 교사는 자신의 교수맥락에서

→ 학생들의 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

→ 내용을 선정, 조직하게 된다.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 (1) 자기관리 역량

→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 기초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다.

 

// (2) 지식정보처리 역량

→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 (3) 창의적 사고 역량

→ 폭넓은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 다양한 전문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이다.

 

// (4) 심미적 감성 역량

→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감수성을 바탕으로,

→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이다.

 

// (5) 의사소통 역량

→ 다양한 상황에서

→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여 존중하는 능력이다.

 

// (6) 공동체 역량

→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이다.

 

 

 

 

고교학점제

 

// (1) 정의

 

→ ① 고교학점제란

→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여 배우고

→ 기준 학점을 채우면

→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 ② 고교학점제의 도입과정을 살펴보면,

→ 교육부는 2021년까지 연구, 선도학교를 운영하여

→ 고교학점제의 제도개선 파악을 추진한다.

→ 그리고 2022~2024년에는

→ 현행 교육과정을 고교학점제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 전국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고,

→ 2025년에는 전국 고등학교에

→ 완성된 형태의 고교학점제를 본격 시행한다.

 

 

 

// (2) 특징

 

→ ① 진로에 맞게 과목 선택

→ 지금까지 고등학생들은  교과선택권이 없이

→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들었으나,

→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맞게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 수업을 이수할 수 있다.

 

→ ② 성취수준 도달시 과목이수 -

→ 기존에는 학생이 성취한 등급에 상관 없이

→ 과목을 이수할 수 있었으나,

→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목표한 성취수준에

→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경우에만 과목이수를 인정한다.

→ 따라서 배움의 질이 보장될 수 있다.

 

→ ③ 누적학점 도달시 졸업 가능 -

→ 기존 고등학교에서는

→ 출석일수로 졸업여부를 결정하였으나,

→ 고교학점제는 누적된 과목이수 학점이

→ 졸업기준에 이르렀을 때 졸업이 가능하게 된다.

→ 따라서 졸업이 곧 본질적인 학력인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 (3) 고교학점제의 필요성

 

→ ① 학생맞춤형 교육 실현

→ 획일적인 기존 교육을 통해서는

→ 학생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기 어렵다.

→ 반면 고교학점제는

→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는 

→ 학생맞춤형 교육을 실현함으로써

→ 학생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 ②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육성

→ 직업세계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서는

→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고

→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 필요한 배움이 무엇인지 찾게 함으로써

→ 진로개척 역량과 자기주도적 학습습관을

→ 길러줄 수 있다.

 

→ ③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 지원 -

→ 학생 개개인은 학습목표, 학습속도가 서로 다른데,

→ 이러한 학생들을 서열화 하는 것은

→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 고교학점제는 학생선택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가진

→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고교학점제의 운영단계

// (1) 1단계

→ 학교에서는 우선적으로

→ 학습자의 과목선택권이 보장되는

→ 학점 기반의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 (2) 2단계

→ 교사는 학생과의 진로상담을 통해

→ 학생이 자신의 학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3) 3단계

→ 학생의 학업설계 결과와 수요조사를 반영하여

→ 개설이 가능한 과목을 확정하고,

→ 학생은 개설된 과목 중

→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개인시간표를 작성한다.

 

// (4) 4단계

→ 학생은 개인시간표에 따라 수업에 참여한다.

 

// (5) 5단계

→ 교사는 석차보다는

→ 학생이 성취기준에

→ 어느정도 도달했는가를 평가함으로써

→ 학생의 과목이수 여부를 결정한다.

 

// (6) 6단계

→ 학생은 이수한 과목에 대해

→ 학점을 취득하게 된다.

 

// (7) 7단계

→ 누적학점이 졸업기준에 도달하면

→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 고교학점제의 유용성

// (1) 학생

→ 주어진 교육과정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존재에서,

→ 자신에게 필요한 수업을 스스로 선택하고

→ 자신의 진로를 개척해 나가는

→ 자기주도적인 존재로 변화할 수 있다.

 

// (2) 교사

→ 교과지식을 전달하고 대학진학을 지도하는 역할에서,

→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성장과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 배움의 질을 보장하는

→ 진정한 교수학습 전문가로 변화할 수 있다.

 

// (3) 학교

→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 학교 밖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함으로써

→ 폐쇄적인 학습환경에서 벗어나

→ 타 학교, 지역사회 등으로 확대된

→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