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교육과정
2절 교육과정 유형 및 개발모형
3. 교육과정 개발모형
(8) 파이너의 자서전적 모형[실존적 재개념화 모형]
------------------------------------------
* 정의
✔ 파이너는
타일러의 논리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의 실증적 접근이
인간의 구체적 경험을 왜곡하며,
이러한 기술공학적 논리가 학교를 지배하여
아동을 억압한다고 비판한다.
//* [기술공학적 논리]는
교육과정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에서
선정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간주하고,
교육과정의 효율적 전달에 초점을 두는
교육과정 논리이다. *//
✔ 자서전적 모형은
교육과정을 '계획된 실체'로 보기보다
'학생 개인의 경험'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학교교육의 목적이 학생 개인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실존적 해방'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 자서전적 방법론
(자아성찰을 통한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방법)
✔ 의미
① 파이너는 학교교육의 병폐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서전적 방법론 3단계를 제시하였다.
② 자서전적 방법론은 교수학습 장면에서
학생의 교육경험을 분석하여
교육상황에 대한 이해와 학생의 자아성찰을
촉진하는 방법이다.
③ 자서전적 방법론을 통해 학생은
자신의 교육경험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분석하여,
학교교육의 기본구조를 파악하고
현실 뒤에 가려져 있는 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강조한다.
✔ 실천방안 -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① [교육경험을 자서전적으로 작성하기]
→ 학생은 자신의 교육경험을
→ 자서전적으로 표현하는 글쓰기를 한다.
→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왔는지,
→ 어떻게 성장했는지에 대해 알기 위해
→ 과거의 교육경험을 자서전적 방식으로
→ 글을 작성한다.
→ 과거 경험에 대해 글을 쓰는 과정에서,
→ 그 경험에는 어떠한 교육원리가 작용했는지를
→ 분석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② [자신의 글에 대해 반응하기]
→ 학생은 자신이 쓴 자서전을 읽고 분석하며,
→ 자신의 글에 대해 말이나 글로서 반응한다.
→ 이 단계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 함께 대화를 하면서
→ 자서전에 나타나 있는,
→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데 작용했던
→ 가정이나 논리가 무엇이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③ [타인의 경험을 자서전적으로 분석하기]
→ 다른 학생들이 쓴 자서전을 함께 읽고 분석한다.
→ 다른 사람의 경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 교육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 사회, 학교, 가정 등 교육적 환경이
→ 친구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 이해하고 공감한다.
✔ 자서전적 글쓰기를 학교현장에 적용한 예
→ 수업성찰일지(교사) 쓰기
→ 학습성찰일지(학생) 쓰기
→ 잘한 일과 반성할 일을 자서전적으로 분석하면서
→ 실존적 각성을 촉진할 수 있다.
* 쿠레레 교육과정 방법론
✔ 의미
① 파이너는 쿠레레 교육과정을
'자기반성적 삶'을 사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쿠레레 교육과정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② 그는 쿠레레 교육과정의 방법론을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교육경험을 분석하여
자신의 실존적 의미를 찾는 작업이라고 설명한다.
✔ 과정
① [회귀]
→ 과거를 현재화 하는 단계이다.
→ 정신분석학적 기법인 자유로운 연상을 통해
→ 자서전적 주인공인 자신의 실존적 경험을 회상하면서,
→ 과거에 경험했던 것을 있는 그대로 기억하여
→ 묘사해본다.
② [전진]
→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상상하는 단계이다.
→ 자유연상과 자기성찰을 통해 심사숙고하며,
→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자신의 미래모습을 상상해본다.
→ 파이너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 미래도 현재 속에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③ [분석]
→ 과거(회귀)와 미래(전진)를 거친 후에
→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단계이다.
→ 과거, 현재, 미래라는 세 장의 사진을 놓고,
→ 이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분석한다.
→ 현재로부터 보다 자유롭기 위해
→ 과거와 미래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고,
→ 과거 안에 미래가 존재하는지,
→ 미래 안에 과거가 존재하는지,
→ 과거와 미래 안에 현재가 존재하는지를
→ 질문한다.
④ [종합]
→ 생생한 현실로 돌아가
→ 자기에게 주어진 현재의 의미를 자문하는 단계이다.
→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주의깊게 듣고,
→ 현재의 의미가 무엇인지 자문자답한다.
→ 그리고 과거의 교육경험이 자신에게 유익했는지,
→ 자기성장에 도움이 되었는지,
→ 개념이해가 제대로 되었는지를 자문자답해본다.
'교육학 > 뚜벅뚜벅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2절 / 4-(1) 교육목표 분류학 (0) | 2022.06.22 |
---|---|
1장2절 / 3-(9) 애플의 구조적 재개념화 모형 (0) | 2022.06.22 |
1장2절 / 3-(7)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0) | 2022.06.22 |
1장2절 / 3-(6) 워커의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숙의모형) (0) | 2022.06.20 |
1장2절 / 3-(5)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교육과정 개발모형(역방향 설계모형)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