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들이 교과서에 적힌 모든 내용을 그대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으로 취급하는 것은 잘못이다.
★ 가르치기 전에 그 내용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역사적 관점과 안목을 담고있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교과서>
-교육과정의 기본목표를 구현할 목적으로 선정, 조직된 내용을
학생 발달 수준을 감안하여 정선하고 재조직한 학습의 기본교재
- 학습내용 조합, 배열하여 지식 전달
- 학습자료와 학습과제 제시, 교수학습활동 안내
- 교사의 학습자료 개발과정의 근거
- 학습평가의 기준, 학습정리와 색인기능 담당
(교과중심 교육과정)
- 교과서를 교육내용의 주요 전달 매체로 정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 교과서를 학습의 참고자료 혹은 학습 자료로 인식
(역사교과서)
- 역사학에서 다루는역사지식을 교육적 배려를 위해 변환한 내용을 담음
- 역사학계의 연구성과가 공적 영역으로 전환된 것
- 역사지식은 본질적으로 가변성, 주관성, 임시성을 지니므로 역사지식에서 '교과서적 지식'이라는 말은 모순이다.
<역사교육의 내용은 객관적 대상, 즉, 고정적인 과거사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 과거 사실은 역사를 구성하는 한 요소에 불과
- 역사교육의 내용은 구성적 성격을 갖는 역사해석 및 담론을 포함한다.
<역사해석은 사실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논자에 따라 다양하다.>
- 역사교과서에 어떤 역사해석을 담을 것인지 결정하기 쉽지 않다는 의미
- 다양한 역사담론 중 어떤 역사상이 보편타당하고 합당한 것인지 합의도 어려움
→ 다양한 관점이 개입하기 때문
- 역사교과서 내용의 타당성 논쟁은 자연스러운 현상
<역사교과서 내용의 문제가 정치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는 것은 교과서의 공적 성격에서 비롯된 것>
- 역사교과서는 역사 교과내용 선정과 구성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이자 구현물
- 교과관이 교육내용 선정에 반영된다.
- 역사교과서 내용: 역사의 내재적 가치, 교육적 가치, 학계정설, 집필자 개인의 역사관 반영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은 교과서에 서술된 '사실'과 '관점'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않은 것이다.>
- 사실과 관점에 맞는 비판잣대가 필요하다.
→ 객관적 사실은 정오(正誤)의 문제, 역사가의 관점은 설득력의 문제 (핍진성)
<역사교과서에서 역사해석과 담론 수용기준>
- 담론이 얼마나 조리있고 정합성과 설득력을 가졌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교과서에 사실 + 해석과 관점이 담긴 [담론]을 싣는 이유>
- 학생들이 그대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님
- 학생 스스로 역사적 관점과 시야를 갖추도록 사고를 계발하기 위함
- 학생의 역사인식을 깨우치고, 역사적 통찰력을 개발하는 데 의의가 있음
★ 교사들이 교과서에 적힌 모든 내용을 그대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으로 취급하는 것은 잘못이다.
★ 가르치기 전에 그 내용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역사적 관점과 안목을 담고있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역사교육론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장3절 / 1. 교육내용 선정의 의미 (0) | 2022.03.02 |
---|---|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Ⅱ. 역사 교육내용의 체계 / 4. 수업차원의 내용 (0) | 2022.02.28 |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Ⅱ. 역사 교육내용의 체계 /2. 교육과정 차원의 내용 (0) | 2022.02.28 |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Ⅱ. 역사 교육내용의 체계 /1. 교육내용의 구성단계 (0) | 2022.02.28 |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3. 역사 교육내용의 요소 / (3) 역사적 태도 (0) | 2022.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