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Ⅱ. 역사 교육내용의 체계 / 4. 수업차원의 내용

by 대군장 2022. 2. 28.

<수업은 역사 교과 내용 구성의 최종단계이다>

- 교사의 수업은 역사교육의 실질적 표상이다.

- 교사는 역사담론이나 역사인식의 생산자가 될 수 있다.

- 교사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취사선택한다. ----------------------------------

→ 학문 특성상 중요한 내용

→ 학습자의 필요와 수준에 부합되는 내용

→ 사회적 측면에서 의미있는 내용 등

--------------------------------------------------------------------------------------------------------

- 수업에서 다루기로 결정한 내용은 판서, 학습지, 파워포인트 등으로 재구성, 재편집되기도 한다.

 

<동일 내용이더라도 교사마다 강조점이나 가치부여가 다르다>

- 교사의 판단과 가치관에 의해 결정

- 교사의 역사교육관은 수업내용 선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ex)------------------------------------------------------------------------------

(역사학습을 역사적 안목을 기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교사)

- 역사지식은 역사에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도구라고 생각

- 설명식 보다는 질문과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수업구성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구축하는 역사학습을 중시하는 교사)

- 역사가들의 해석을 확고한 진리로 제시하지 않는다.

- 교과서 내용과 다른 해석이나 그 근거자료를 수업내용으로 다룬다.

→ 학생들의 적극적인 인지적 사고와 참여 유도

→ 수업내용은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통해 확장

---------------------------------------------------------------------------------

 

<교과서내용을 수업 내용으로 변형할 떄, 교과지식의 숙달정도는 교사의 수업내용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 교과 내용에 숙달될수록 교과서 내용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수업내용을 변형한다.

(예외 존재)

1. 교과서 내용 그대로 수업 // 과거 사실 교육 중시, 입시에 대한 부담

2. 학습지 활용 // 교과서 내용이 너무 많은 경우

3. 교과서 외 내용을 교과서 내용과 결합, 재구성 // 교과서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필요없다는 판단 전제

 

<교사는 수업목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사례나 자료를 선택하고 학습활동을 구상한다>

- 교과서에 없는 역사적 사례

- 유추를 위한 예시를 제시하며 설명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