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한국사통론

조선전기 왕권의 강화

by 대군장 2022. 11. 1.

<태조>

1. 재신 합좌로 구성된 최고권력기구인 '도평의사사'의 기능을 약화시킴

→ 국가의 중요문제는 국왕이 도평의사사에 하명하여 시행케 함

 

ex) 개국공신과 원종공신의 선정

: 태조가 단독으로 결정하여 이를 도평의사사에 내리면서 포상하도록 명령

 

 

2. 소수의 재신중심 국정운영

→ 도평의사사나 개국공신 등 다수관료 소외된 경향

→ 소외된 공신들의 불만을 축적시켜 권력투쟁의 요인이됨

 

소수 재신 = 조준, 정도전, 남은 등

 

 

<두 차례 왕자의 난>------------------------------------------------------------------

(1차 왕자의 난(1398))

이방원(이성계의 5남)은 태조가 이복동생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한 데 불만을 품고,

방석을 후원하고 있는 정도전, 남은 등이 자기 형제들을 제거하려 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이들을 살해한 다음 방석, 방번 형제마저 살해하였다.

 

(정종 즉위(1398~1400))

방원이 음모혐의를 피하기 위해 형인 방과에게 양보

- 정종 즉위 후 개경환도

 

(2차 왕자의 난(1400))

: 방간(이성계의 3남)이 방원에게 도전했으나 패배

→ 방간쪽에 개국공신으로 1차 왕자의 난에 공이 있으면서 

→ 1등공신으로 피봉되지 못하여 불만을 품고 있던 '박포'가 개입

 

 

 

<2차 왕자의 난 이후 방원은 세자에 책봉되어 왕권강화조치 시행>----------------------------

 

* 1400년 4월(정종 2) 사병혁파 조치

1. 왕 및 세자의 시위를 제외한 일체의 사병 혁파

2. 지방의 절제사를 파하고 그 소속의 군사를 모두 의흥삼군부에 편입하여

공병화함으로써 모든 병권을 국왕에게 집중하였다.

 

 

 

* 방원의 관제개혁

1. 도평의사사를 완전히 폐지하고 대신 '의정부'를 세움

: 고관 합의기구 해체와 문무직무의 분리 → 상대적으로 왕권강화 초래하는 것

 

① 태조 때에는 의흥삼군부가 군무를 전담함으로써 도평의사사는 기능이 축소되었지만

 아직도 문하부, 삼사, 중추원의 고관들로 구성된 합의기구로서 남아있었음

 

② 방원이 의정부와 의흥삼군부를 중심으로 정치기구를 개혁함으로써

정부와 군부를 완전히 분리시킴

 

 

2. 중추원을 폐지하고 그 직무를 '의흥삼군부'에 소속시킴

 

 

 

<태종 즉위 후 관제개혁(1401)>-------------------------

1. 문하부 폐지

: 그 구성원을 분리시켜 '재신'은 의정부에서 국가서무를 총괄하게 하고

'낭사'는 신설한 '사간원'으로 편성하였다.

 

2. 삼사는 '사평부'로 개편

: 의정부의 합좌에서 제외시켰다.

 

3. 의흥삼군부는 '승추부'로 개칭

: 군무 이외에도 왕명출납을 관장케함 (종래 중추원과 같은 성격의 기구로 만듬)

→ 2년 뒤 '삼군도총제부'로 부활시킴

 

 

 

<태종의 세번째 관제개혁(1405), 6조 기능 강화>----------------------------------

1. '사평부'를 '호조'에 합병시킴

2. '승추부'를 폐지하여 군무를 '병조'에서 관장하도록 함

3. '상서사'에서 맡아오던 인사기능을 이조와 병조에 귀속시킴

 

//* 1405년에 한양으로 환도 *//

//* 1414년(태종 14) 6조직계제 확립 *//

 

조선 태종의 관제개혁
[연도] [개편 전] [개편 후]
1400년 (정종 2년)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중추원' 폐지 '의흥삼군부'가 직무를 담당하게 됨
1401년(태종 1년) '문하부' 폐지 구성원 분리
재신→ 의정부에서 국가서무 총괄
낭사→ 신설한 사간원으로 편성
  '삼사' '사평부'로 개편
의정부 합좌에서 제외시킴
  '의흥삼군부' '승추부'로 개칭
→ 군무 이외에도 왕명출납을 관장케 함
→ 종래 중추원과 같은 성격의 기구화
→ 2년뒤 '삼군도총제부'로 부활
1405년(태종 5년) '사평부' '호조'에 합병시킴
  '승추부' 폐지 군무를 '병조'에서 관장하도록 함
  '상서사'의 인사기능 '이조'와 '병조'에 귀속시킴

 

 

 

 

 

 

 

 

다음 자료를 보고 작성 방법에 따라 답안을 작성하시오. / 한국사통론 258~259

 

조선 태종의 관제개혁
[연도] [개편 전] [개편 후]
1400년 (정종 2년)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중추원' 폐지 '의흥삼군부'가 직무를 담당하게 됨
1401년(태종 1년) '문하부' 폐지 및 구성원 분리 재신→ 의정부에서 국가서무 총괄
낭사→ 신설한 사간원으로 편성
  '삼사' '   ㉠   '(으)로 개편
의정부 합좌에서 제외시킴
  '의흥삼군부' '   ㉡   '로 개칭
→ 군무 이외에도 왕명출납을 관장케 함
→ 종래 중추원과 같은 성격의 기구화
→ 2년뒤 '삼군도총제부'로 부활
1405년(태종 5년) '   ㉠   ' '호조'에 합병시킴
  '   ㉡   ' 폐지 군무를 '병조'에서 관장하도록 함
  '   ㉢   '의 인사기능 '이조'와 '병조'에 귀속시킴
<작성 방법>   (한국사통론, 258~259)
㉠, ㉡, ㉢에 해당하는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
정종 2년 시기에 실시된 사병혁파 방안을 2가지 서술하시오.

㉠은 사평부, ㉡은 승추부, ㉢은 상서사 이다.

정종2년 시기에 실시된 사병혁파 방법은

첫째, 왕 및 세자의 시위를 제외한 일체의 사병을 혁파한 것이다.

둘째, 지방의 절제사를 파하고 그 소속의 군사를 모두 의흥삼군부에 편입하여 공병화 한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