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5

고려 후기 군사제도의 변화 (1) 2군6위제 형해화 → 다만 무반의 관직체계로서 구실 * 원인 ① 군인전의 피탈에 따른 군호의 몰락은 2군6위의 상비군 조직을 존속할 수 없게 하였다. ② 예종시기 '별무반'의 설치와 무신정권기 '도방'의 사병조직 및 '삼별초군'의 존재는 공병제 붕괴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음 //* 도방 → 무신정권을 보위한 사병조직 → 초기에는 6번교대, 뒤에는 36번으로 확대 *// //* 삼별초 → 경찰임무를 지닌 야별초가 좌우로 나뉘고 → 여기에 몽고와의 항쟁 때 포로로 되었다가 도망친 사람들로 구성된 → '신의군'이 합한 것 → 국가 공병이었으나 최씨정권의 사은을 입어 사병화 *// -------------------------------------------- (1) 몽고의 영향을 받아 '만호제'를 기간으.. 2022. 10. 27.
고려 지방제도의 발전 (1) 500여개의 군현 가운데 외관이 파견된 주현이 적고 외관이 없는 속현이 많았다. (2) 고려 전기에는 주현이 중앙정부와 직결되고 다만 한정된 기능에 있어서 '계수관'이 중간기구를 대행한 미숙한 명령체계였다. (3) 중기 이후 중간기구로 경기, 5도, 양계의 8개 구획이 성립하였으나, 이것은 획일적이지 못한 3원적 구별이었다. (4) 천민집단의 특수행정구획으로 향 부곡 소가 광범위하게 존재하였다. ------------------------------------------- 고려정부의 긴급한 과제는 수령이 없는 속현을 감소시켜 중앙집권화를 강화하는 것 * 속현의 감소방법 (1) 정식 수령을 파견하여 주현화시키는 방법을 취함 ex) ① 청주목 관내 부성현에 1144년(인종22) 현령 설치 ② 울주 속.. 2022. 10. 27.
고려후기 중앙정치체제의 변화 (235~238) - 권문세족의 권력집중기관 - 재추의 변방 및 군사문제 회의기관인 '도병마사'의 후신이다. - 고종 후년에 도병마사가 군사문제에 더해 민사문제까지 관장하자 '도당'칭호를 획득하였다. - 1279년(충렬왕5)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칭되었다. //* 도병마사는 원의 관제와는 무관하였기에 개정의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기능상으로 기구명이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1279년에 고려 스스로 개칭한 것이다. *// ***** 도평의사사의 정원 ***** 처음에는 5재 7추 점차 재추의 수가 증가 + 직접 직사자가 아닌 재추 상의까지 포함 고려말에는 도당합좌 재추의 수가 7~80명 → 도당 회의원의 과다한 증원으로 현실적인 도당의 의정활동이 장애가 되어 몇 명의 재추로 禁中(금중)에 常會(상회)하여 기무를.. 2022. 10. 25.
합스부르크와 발루아 다음 자료를 읽고 작성 방법에 따라 답안을 작성하시오. / 서양사개론 334-336 에스파냐의 왕위계승권자가 차례로 요절한 결과, 카스티야의 여왕 이사벨라가 사망하였을 때 그 왕관이 막시밀리안의 아들 필립에게 시집온 에스파냐 왕녀에게로 넘어오고, 다시 아라곤의 페르디난드가 사망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그보다 앞서 사망한 필립의 장남이 에스파냐왕국과 그 해외 식민지를 포함한 전영토를 계승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필립의 장남이 프랑스의 ㉡ 의 경쟁을 물리치고 황제로 선출되었을 때 그는 방대한 합스부르크제국의 지배자가 되었다. ㉠과 ㉡을 중심으로 한 합스부르크와 발루아왕실의 대립과 투쟁은 이탈리아 쟁탈전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반세기에 걸친 투쟁끝에 지칠대로 지친 합스부르크와 프랑스는 1559년 ㉢ 으로.. 2022.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