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3장2절 / 1-(1) 교과서의 성격

by 대군장 2022. 3. 15.

3장 역사교육의 교재

2절 역사교재의 형태

1. 역사교과서

(1) 교과서의 성격

---------------------------------------------------------------------------------------

<교과서>

// 교재를 가르치고 배우는 데 적합하도록 편집한 도서

 

// 각 교과의 지식, 경험, 체계를

// 쉽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편집해서

// 학교에서 학습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교육과정>----------------------------------------------

// 교과서 제작의 기준이 되는 것

//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목표나 기준에 따라

// 교과내용을 구체화 한 것이 교과서다.

 

<일반도서와 비교한 교과서의 성격>--------------------

 

1. 교과서는 교육이념, 목적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

// 국가수준, 자치단체 단위이건 간에

// 교육에는 정책적 의지가 들어감

 

// 사회환경, 사회에서 추구하는 가치와도

// 밀접한 관련있음

 

// 교과서가 정부, 특정집단의 이해관계, 가치관에 치우치면

// 그 의도, 목적, 교육적 적절성을 놓고 논란 발생

 

 

2. 교과서는 교육제도, 각종 규정에 의해 통제되는 제도매체

// 각 나라, 자치단체는

// 교과서 제작, 보급, 사용 등을 제도로 규정

// 교과서는 이 제도 틀 속에 존재

// 교과서 내용도 '교육과정'의 제약을 받음

// 교육과정= 각 교과 목표, 다룰 내용 규정

 

// 교과서의 제도적 제한은 나라마다 차이 존재

// 우리나라는 교과서에 대한 제도적 통제 강함

// '교육기본법',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 초중고 교과용 도서는

//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졌거나 인정한 것'으로 정하고

// 학교 수업에 사용하는 교과서에

// 독점적 권한을 부여하는 등 제도매체 성격 강화함

// 교육과정에 교과 단원구성,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 교과서 내용도 제도적으로 통제하고 있음

 

// 근래에는 이러한 제도적 제한 줄어드는 추세

// 검정, 인정교과서 종수 증가하고 있음

// 교육과정 내용도 간략해지고 있음

 

 

3. 교과서는 학습자료다.

// 교과서 내용

→ 학문내용을 바탕으로 하지만,

→ 이를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 교육목적, 환경에 맞춰 편집하고 변형한 것

 

// 교과서

→ 교사, 학생, 교실에 적합해야 한다.

→ 기본적으로 학생용 텍스트를 의미

→ 그러나 교사용 교과서를 별도로 펴내는 국가 많음

→ 우리나라도 7차교육과정부터

→ 일부 과목 교사용 지도서를 교과서로 인정하고

→ 검정대상으로 삼고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