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3장3절 / 1-(2) 지역사의 개념

by 대군장 2022. 3. 17.

3장 역사교육의 교재

3절 역사 교재의 소재

1. 지역사 자료

(2) 지역사의 개념

--------------------------------------------------------------------

<각 지역의 역사를 가리키는 용어>

*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 이중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가는

→ 단순한 선호도가 아니라

→ 지역의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임

 

<향토사>----------------------------------

1. 역사교육에서 가장 자주 사용됨

 

2. [향토]

// 자신이 태어나서 자라거나

// 생활하고 있는 고장

 

// 공동생활과 정서, 공통된 전통

// 상호의존적 지역사회 지칭

 

// 자신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 공동체 역사라는 개념 내포

 

// 향토사를 공부하면 애향심을 갖게됨

 

3. '향토사' 용어 사용론자의 주장

 

// (1) 역사연구, 교육은 주체적인 관점에서

//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학생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 수업

 

// 그래야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를

// 이해하고 해석하며

// 역사의 전개과정에 능동적으로

// 참여할 수 있다는 것

 

// (2) 국가사의 관점에서 

// 각 지역의 역사에 접근하는 것은

// 주체성을 상실하여 지역의 역사를

// 국가사에 종속적인 것으로

// 만들 수 있다고 우려한다.

 

// (3) 각 지역의 역사변화를 설명하고

// 다른지역과의 관련성보다는

// 그 지역의 전통이나 '독자성', '고유성'에

// 관심을 가진다.

 

4. 향토사가 가지는 문제점

// (1) 자기지역의 전통이나 고유성을

// 강조하다보면, 객관적으로 역사를

// 인식하기 어렵다.

 

// (2) 애향심을 가지고 역사를 서술하거나

// 공부하다보면 '자기미화'로

// 흐를 우려가 있다.

 

 

<지방사>-----------------------------------

1. 역사학계에서 많이 사용

2. 국가사의 일부라는 개념

// '중앙사'와 대비되는 개념

 

3. '지방사' 용어 사용론자의 관점

// (1) 지역 역사를 역사 일반의 관점에서 본다.

// (2) 제 3자의 입장에서 연구한다.

 

// (3) 향토애나 애향심 보다는

// 실증적, 객관적, 합리적 연구를 강조한다.

 

// (4) 국가 제도, 정책, 행정은

// 각 지역의 역사에

//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 지방사는 국가의 틀 속에서

// 지역의 역사에 관심을 쏟으며,

// 국가나 다른 지역의 역사가

// 해당지역 역사에 어떤 영향을 

// 미쳤는지 주목한다.

 

→ 국가나 세계, 다른 지역과의 관계속에서

→ 지역의 역사를 연구해야

→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임

 

 

4. '지방사' 용어의 문제점

// (1) (주변화): 국가사나 중앙사에 대한

// 변두리, 변방의 역사라는 느낌을 준다.

 

// (2) 각 지역 역사의 독자성을 무시하고,

// 중앙사나 국가사의 변화에 

// 종속되는 것으로 보기 쉽다.

 

// (3) 지역의 역사를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 지역사람들의 역할을

// 무시할 우려도 있다.

 

 

<지역사>--------------------------------------

1. '지역사' 사용론자의 관점

// '지방'

→ '중앙'에 대한 종속적, 주변적 개념

 

// '향토'

→ 자기 고장이라는 한정성을 가짐

 

// '지역'

→ 도시, 농촌, 서울, 지방

→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 지리적, 행정적으로 한정된 공간

→ 따라서 '지역사'가

→ 더 가치중립적, 포괄적 용어라고 주장

 

// '지역사'의 관점에서 출발하면

→ 종속적인 지방문화가 아니라

→ 주체적인 지역문화로,

 

→ 주관적인 향토문화가 아니라

→ 객관적인 지역문화로 연구 가능 하다는 것

 

→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 지역사는 지역의식이 바탕이 되는

→ 생활공동체적 생활권의 역사다.

 

 

2. '지역사' 용어의 장점

// (1) 지역사회에 대한 종합적이고

//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 사회발전의 법칙을 규명할 수 있다.

 

 

// (2) 외화성, 전통성의 양면에서

// 역사를 연구하며, 이를 통해

// 민중의 주체적인 입장에서

// 역사를 바라보며,

// 지역사, 국가사, 세계사를

// 통일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3. '지역사'용어의 한계점

// (1) 역사 일반을 보는 관점과

// 특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 (2) 지역사 연구는 지역 연구에서 나온것인데,

// 지역연구는 원래 '지역'이라는 

// 모티브를 매개로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 의미공간적 인식론으로,

// 제국주의 국가의 정책수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 지배에서

→ 독립한 나라에 여전히 지배력을

→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택한 학문이

→ 지역 연구라는 것이다.

→ 이 때문에 지역사라는 말을 쓸 경우

→ 제국주의가 선도한 지역 연구의 역사라는

→ 느낌을 줄 수 있다.

 

// (3) '지역'의 범위가 문제가 된다.

→ '지역'이라는 공간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 흔한 방법은 행정구역에 따른 구분이다.

 

 

→ 행정구역 단위로 지역 범주를

→ 나누는 방법의 문제점 2가지

 

- (1) 행정구역은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구분인데

- 지역사는 과거의 지역개념이라는 것이다.

- 과거의 행정구역은 오늘날과 같지 않으며

- 어떤 지역의 행정구역은 바뀐 경우도 있음

-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럽 등지에 비해

- 행정구역의 변화가 그리 심하지 않은편이다.

 

- (2) 현재의 행정구역은 인구를 단위로 하고 있다.

- 같은 등급의 행정구역이라고 하더라도

- 공간적 크기에서는 차이가 있다.

- 지역사는 인구는 물론

- 공간적 규모에도 영향을 받는다.

- 공간크기가 차이나는 지역의 역사를

- 같은 단위로 다루는 것은 문제가 있다.

 

4. 지역사 단위가 되는 지역 기준을

경제권, 교통권, 생활권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

// 실제로는 지역의 범주 거의 비슷함

// 근대이후 교통수단의 발달로

// 경제권, 생활권, 교통권이

// 더욱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 경제권

// 사람이나 물자의 교류가 활발하고

// 상호의존, 상호작용을 하는 등

//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가 있는 지역

 

* 교통권

// 상호접근이 용이해서

// 사람들의 왕래가 활발한 지역의 범위

 

* 생활권

// 공동의 일상생활이나 문화를

// 누리는 지역

 

* 문화권

// 과거 사회에서 만들어놓은

// 문화적 토대를 기준으로 한다.

 

// 지역에 존재했던 국가의 영역기준

→ 백제문화권

→ 신라문화권

→ 가야문화권

 

// 한 지역에서 왕조가 여럿 바뀐 경우

→ 역사전개와 특성에 영향을 미친

→ '지역'이나 '지리적 요소'를 기준으로

→ 문화권을 구분하기도 한다.

 

// '물길'은 교통이나 생활근거지로

// 문화권을 나누는 기준 중의 하나다.

→ 한강문화권

→ 영산강문화권

→ 중원문화권

 

5. 지역사 수업과 교사의 관계

 

* 교사의 수업설계

// 지역의 범위를 어떤 기준으로 삼을지 결정

// 수업목적, 지역적 특성, 지역사 내용구성

// 등이 지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줌

 

→ 교사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관의

→ 영향을 받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