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3장3절 / 4-(1) 디지털 시대와 역사교재

by 대군장 2022. 3. 19.

3장 역사교육의 교재

3절 역사 교재의 소재

4. 디지털 역사교재

(1) 디지털 시대와 역사교재

--------------------------------------------------------------------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변화>

 

* 학습자료의 출처, 형식 달라짐

// 출처: 컴퓨터, 인터넷

 

 

* 인터넷의 효과

// (1) 필요한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함

// (2) 인터넷 자료들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 새로운 형식을 보여주기도 함

→ ex) '오픈사전'

→ 어떤 항목에 대한 서술이 고정되어있지 않음

→ 누구나 수정, 보완, 추가할 수 있음

→ 여러사람이 하나의 공동항목을 완성해감

→ 모든 항목을 미리만드는 기존의 사전에 비해

→ 내용이 훨씬 풍부해질 수 있다.

 

 

* 디지털화된 교재

// 인터넷에서 보거나 하드디스크에 저장가능

→ ex)

→ 사료: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 문화재: 팔만대장경, 옛그림, 도자기 등

→ 사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민속사전 등

 

 

<학생과 인터넷의 관계>---------------------

* 학생들은 자주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음

// 책이나 그밖의 자료원보다 인터넷이 익숙

 

* 인터넷에 자료를 올리거나 공유

 

* 자료수집 및 정보획득능력이 중요해짐

// 학습에 필요한 자료들이 어디있는지 알아야함

// 자료원에 접근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길러야함

// 자료들을 평가, 분석하는 능력

// 필요한 자료를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

 

 

<역사공부에 활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

* 교수학습용 자료를 제공하는 사이트

* 공공기관, 학회, 교사모임 등

* 전문역사학자의 개인 홈페이지

// 연구동향 소개

 

* 교사 개인의 홈페이지

// 실제 수업에서 사용된 자료 구할 수 있음

 

 

* 에듀넷(edunet)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

// 교육용 포털 사이트

// 각 과목별로 교사용 교수프로그램과

// 학생용 학습프로그램 제공

// 교육과정에 맞춘 자료 제공

→ 단원별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

→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모아놓음

 

 

<e러닝 프로그램 (e-learning)>---------------

// 인터넷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짐

 

* 학교 교육과정에 맞춘 것도 존재

 

* 교사가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는것도 존재

// 정해진 학습과정을 그대로 밟아야 

// 하는 것이 아니라

// 교사가 선택, 편집해서 

// 수업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것

 

// 한계점

(1)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 어느정도 내용은 획일화됨

 

(2) 교사의 활동은 거의 없어지며,

→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줄어듬

 

 

<역사관련 웹사이트>-------------------------

// 많은 학습자료를 구할 수 있음

 

* 역사연구기관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부분의 박물관

* 문화재청

*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 이러한 웹사이트의 장점

// (1) 웹사이트에서 찾은 자료들을

// 잘 정리하고 수업목적에 맞게 편집하면

// 훌륭한 교재가 될 수 있다.

 

// (2) 때로는 이들 기관의 홈페이지

// 그 자체를 교재로 활용할 수도 있다.

→ ex)

→ 규모가 큰 박물관에서 실시하는

→ 사이버교육을 이용하는 경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