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4장2절 / 1-(5) 극화수업

by 대군장 2022. 3. 25.

4장 역사 수업의 방법

2절 역사 수업의 방법

1. 교수학습 활동에 따른 수업 유형

(5) 극화수업

--------------------------------------------------------------------

<극화수업>

* [극화수업]

// 줄거리를 가진 극의 형태로 진행되는 수업

 

// 다른 교과에서도 활용

// 명칭 다양하게 쓰임

 

 

* 역사수업의 극화수업

// 다른교과와의 차이

→ 수업의 목적이 '역사 탐구'에 있음

 

// 주객이 전도된 극화수업

→ '역사 탐구'나 '이해'보다는

→ 연기연습, 소품준비에만 몰두

 

// 본래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 극을 만들기 전에

→ 학생이 역사를 충실하게 탐구하고

→ 이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함

 

 

<극화수업의 종류>----------------------

* 연극식

// 영상극, 인형극

// 그림자극, 뮤지컬

 

* 다큐멘터리식

* 뉴스 보도식

* 시사토론식

* 모의재판 형식

* 모의국회 형식

* 마당극 형식

 

 

 

 

<학생 조직에 따른 극화수업 구분>-----------

 

1. 학급에서 극화수업 연기자를 뽑아 수업하는 방법

 

* 학생

// 연기자

→ 연기를 통해 역사 이해

 

// 관객

→ 연극을 보며 역사 이해

 

 

* 연극이 끝난 후

// 극 내용에 대해 평가와 토론

 

 

* 이런 유형의 극화수업의 장점

// (1) 대본, 무대장치, 분장과 같은 연극 준비가

// 한층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2) 학생들의 연기도 다른 방식에 비해

// 나은 경우가 많다.

 

 

 

2. 학급의 모든 학생들을 모둠으로 나누어

모두 똑같은 극을 만들어 참여하게 하는 방법

 

* 이런 유형의 극화수업의 장점

// (1) 연기가 끝난 다음에는

// 각 모둠의 대본, 수업준비, 연기 등을

// 비교할 수 있다.

 

 

* 이런 유형의 극화수업의 한계점

// (1) 학생들이 참고한 자료가 비슷할 경우

// 대본, 연극내용이 비슷해

// 수업을 지루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 (1) 문제점의 극복방법은

// 같은 사건, 상황을 모둠별로

// 서로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 구성해보도록 주문하는 것이다.

→ ex) '만적의 난'

→ 만적의 입장, 최충헌의 입장,

→ 만적의 난에 참여하지 않은

→ 다른 노비들의 입장에서

→ 복원해보도록 지도할 수 있다.

 

 

// (1) 극복방법의 장점

→ 한 사건에 얽힌 다양한 사람들의

→ 관점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다.

 

 

 

3. 학급의 모든 학생들을 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극을 만들어 참여하게 하는 방법

 

* [협동식 연극수업]

// 주제를 몇 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 연극을 준비

 

→ ex) 주제: '조선전기 평민의 생활'

→ 소주제1: '농민의 생활'

→ 소주제2: '상인의 생활'

→ 소주제3 '장인(수공업자)의 생활'

→ 의 형태로 극을 구성

 

* 수업의 진행

// 각 모둠이 서로 다른 소주제를 가지고 연기

// 이들의 연기를 종합하여 학습과제 수행

 

 

 

<극화수업 진행 시 유의점>-----------------------

 

1. 어떤 형식으로 극화수업을 진행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유

// 극의 형식에 따라

// 극에서 다루는 내용은 물론

// 그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이

// 달라지기 때문이다.

 

 

* 극 유형의 선택문제

//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연결됨

 

// 추체험

→ 모든 극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님

 

// 학습목표에 적절한 극의 선택

→ 극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

 

 

* 1-(1) [연극식] 극화수업이 효과적인 경우

// '추체험', '감정이입'을 학습목표로 설정하고

// 인물들의 행위

// 즉, 특정한 인물이 특정한 상황에서

// 특정한 행위를 하게된 과정,

// 그 인물의 사고과정을 이해시키고자 하는 경우

 

 

* [연극식] 수업의 효과적 진행을 위한 조건

// 학생들에게 연극을 통해

// 구현하고자 하는 상황이나 인물을

// 구체적으로 이해시켜야 한다.

 

→ 그렇지 않으면 행위를 하게되는

→ 행위자의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 없이

→ 행위들을 피상적으로 연결시켜

→ 극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1-(2) [모의재판] 형식이 적합한 경우

// 단순한 이해에 그치지 않고

// 그 인물의 행위를 역사적으로

// '평가'해보고자 하는 경우

 

// 즉, 역사적 상상력에 그치지 않고

// 역사적 판단력의 함양까지 기대하는 경우

→ 인물, 사건의 의미를

→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 극에 포함해야 함

 

// 그러한 극의 형태

→ 모의재판

→ 시사극: '그것이 알고싶다.' '추적 60분'

 

 

// ex)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펴게 된 이유와

// 그의 인식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

→ 흥선대원군과 주변인물들의 사고과정이

→ 드러나도록 연극식으로 구현 가능

 

→ 그의 쇄국정책이 과연

→ 역사적으로 적절한 판단이었는가,

→ 즉, 그러한 정책에 대한

→ 역사적 논란까지 생각해보도록

→ 하기 위해서는

 

→ 재판극 형식을 통해

 

→ 한편으로는 흥선대원군이

→ 피고로서 자신의 생각을

→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 한편으로는 변호사, 검사, 배심원이 되어

→ 흥선대원군의 행위를 심문하고 평가해보는

→ 기회를 줄 수도 있다.

 

 

* 1-(3) [시사토론식 수업]이 효과적인 경우

// 하나의 사건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 논쟁에 대해 탐구할 기회를 제공하려는 경우

 

// ex) 광해군의 중립외교

→ 어떤 논란을 불러 일으켰는가

→ 쟁점이 무엇이었는가

→ 역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대해

→ 집중적으로 토론

 

 

* 1-(4) [다큐멘터리식 수업]이 적합한 경우

// 한 시대를 풍미한 현상이나

// 고유한 사고방식, 생활방식을 탐구하는 경우

 

* 1-(5) [마당극] 형식이 적합한 경우

// 특정 시기의 사회문제를

// 풍자하고자 하는 경우

 

 

 

2. 극화수업의 대본은 학생들이 직접 써야한다.

 

* 기존의 대본을 극화 하는 것

// 역사수업이 아닌 연극 수업이다.

 

* 교사의 역할

// (1) 학생들이 대본을 쓰거나

//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 자료를 제공하거나

// (2) 대본을 다듬고 수정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함

 

→ 교사가 적극적으로 방향을 제시하기 보다는

→ '질문'을 통해서

→ 탐구해야할 내용, 대본에 들어가야할 내용을

→ 안내하는 것이

→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를 자극하는 데 효과적이다.

 

 

3. 극화수업은 극을 준비하는 과정, 실연하는 과정

못지 않게 '후속토의'와 '평가'과정이 중요하다.

 

 

* 학생 체크리스트법(동료평가)

// 실연단계, 극이 끝난 후에 평가

// 극이 역사이해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평가

// 학습목표, 극의 형식에 따라

// 달리 작성될 수 있음

 

// 학생들이 체크리스트를 참고하면서

// 극을 준비할 수 있도록

// 극 준비단계에서 미리 제시되는 것이 좋다.

 

 

* 3-(1) [연극식] 학생 체크리스트법(동료평가)

// (1) 극이 역사적 인물의 행위, 의도, 동기, 목적을

//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

// (2) 그 인물이 그러한 행동을 하는 데

// 영향을 미친 요소들이 잘 드러났는지 등을 평가

 

 

* 3-(2) [시사토론극] 학생 체크리스트법(동료평가)

// (1) 역사적 쟁점을 잘 파악하고 있는지

// (2) 각자의 주장에 근거가 설득력 있게

// 제시되었는지 등을 평가

 

 

* '후속토론'

// 극을 통한 역사 이해 심화 방안 중 하나

 

// 극에서 다룬 역사적 사건, 인물, 역사적 논쟁 등을

// 분석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 후속토론의 유의점

(1) 학생들이 극을 보면서 갖게된

→ 의문이나 의견을

→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 안내하는 것이 좋다.

 

(2) 토론에 능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 구체적인 질문을 제시해

→ 토론을 유도할 필요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