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육론/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93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3. 역사 교육내용의 요소 / (1) 역사지식 / ① 사실 역사교과내용을 구성하는 요소: [역사지식], [역사적 사고], [역사적 태도] [역사지식]: 사실, 개념, 일반화, 이론으로 구분 역사적 사실 = 명제적 지식 / 이해를 통해 얻어진다. 역사적 사실을 아는 방법 = 방법적 지식 / 활동과 실천을 통해 얻어진다. / 이 책에서는 역사적 사고에 포함 =============================================================== - 개별 사건이나 사람들에 관한 정보가 경험 자료에 의해 증명된 서술 - 증거(사료)를 가지고 밝힌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서술 (사실성립요건) 1. 구체적인 사건이나 현상이 있어야함 2. 그것을 인식하기 위한 증거나 자료가 있어야 함 3. 이것을 토대로 한 인간의 인식과 서술이 있어야 함 (역사교육의.. 2022. 2. 27.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2. 역사 교육내용의 범위 역사수업의 내용 : 과거에 대해서 역사가들이 서술한 기록 1. 과거를 재생하는 과정에 서술자의 관점이 불가피하게 개입한다. 2. 남겨진 사료나 기록이 불충분하여 서술하는 사람의 상상력에 의존하는 경우도 많다. → 역사는 일종의 문학으로도 여겨짐 - 랑케(L. von. Ranke)에 의해 전개 - 문헌고증의 실증적 역사연구시도 - 19세기 랑케의 역사서술이 내러티브에 가깝고 과학적 방법론이 결여된 것이라 비판 - 역사학은 보편적 학문으로서 과학성과 합리성을 갖추어야 했음 → 지리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등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과 성과를 역사연구에 도입 → 프랑스 아날학파 역사가들은 '문제로서의 역사'를 주창하며 구조사와 전체사 지향 (아날학파) - 단기,중기, 장기 등 다양한 시간적 접근으로 역사를 .. 2022. 2. 27.
2장 역사교육의 내용 / Ⅰ. 역사교육의 개념과 요소 / 1. 교육내용의 개념 [교육내용] : 교육의 대상, 즉 각 교과에서 다루거나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 - 교육내용을 토대로 교육목표 설정 - 교과내용은 교육과정 틀 구성, 교수학습 성격 규정 - 역사교육내용은 역사학에서 추출된 지식과 사고 → 역사적 사실과 개념을 활용해서 역사와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안목 또는 활동을 내포한다. → 역사교육내용은 학생들이 역사교과를 이해하는 중간언어이자 역사학습의 의미를 깨닫게하는 매개체 - 교육사조나 교육과정 모형에 따라 [교과], [경험], [학문]을 내용으로 본다. → 무엇을 교육내용으로 보느냐에 따라 내용선정 원리나 기준이 달라진다. 1. 그것을 가르칠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결정 2. 가르칠 가치가 있다면 어떤 가치를 내포하는지가 중요 → [역사교육에서 내용선정] : 가치있는 내.. 2022. 2. 27.
1장 역사교육의 목표 / Ⅲ. 역사교육 목표의 설정 / 4. 역사학습에서 행동목표와 구현목표 1. 학습자가 학습의 결과로 행동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한다. 2. 학습자가 행동하는 것을 보고 관찰자(교사)가 목표 달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한다. 3. 학습자의 도달점을 기술할 때 학습자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명시해야 한다. [교육목표의 상세화]: 교육목표를 명시적인 행동용어로 제시하는 것 목표모형론자들의 명시적인 행동목표는 지식이나 관찰 가능한 기능에 관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데는 적절하지만, 역사적 사고력 같은 추상적인 능력에 대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데는 부적절하다. (목표모형론에 근거한 역사수업 명시적 행동목표의 사례) 1. 주어진 항목 중에서 조선후기 서민문화의 특성을 세 가지 골라낼 수 있다. 2. 주어진 자료 중에서 서민문화와 관계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2022. 2. 26.